
| 정책제안명 | 국내 모빌리티 관련 중소기업의 디지털 탄소중립 경영 실천전략 |
| 개발주체 | 디지털 융합 K-ESG 혁신 표준화 포럼 정책분과위원회 |
| 주요내용 | 모빌리티 산업 대상 중장기 디지털 탄소중립 경영 실천전략 수립 |
상세정보
1. 제안정책 : 국내 모빌리티 관련 중소기업의 디지털 탄소중립 경영 실천전략
2. 요점 및 핵심
ㅇ(요약) 중장기 디지털 탄소중립 경영 실천전략 수립
- (1단계) 인식개선 활동
→ 관내 모빌리티 기업 대상 탄소 배출 이력 관리 현황파악
→ 모빌리티 산업 중심 탄소 배출 관리 기업사례 공유 행사개최, CEO 교육
→ 유관 연구원 및 대기업 등 모빌리티 체인밸류의 탄소 배출 이력 관리 기술 공유
- (2단계) 기술보급화 활동
→ 관내 모빌리티 기업 대상 탄소 배출 이력 관리 진단 및 컨설팅
→ 관련 기술의 기업 도입 보조 지원
- (3단계) 활용확산 활동
→ 탄소 배출 이력관리 기업 대상 천안시 지원사업 가점의무화 등 베네핏 제공
→ 국가 ICT 기반 표준화 연계 및 기술관리 규격화 추진
3. 기존 정책과의 차별성
ㅇ(현황) 정부는 디지털 탄소중립 전담반을 출범하여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ICT 등 디지털 기술 기반의 기업형 탄소중립 실천 목표를 수립
ㅇ(차별성) 기업의 탄소중립 개념 현황파악 실태조사, 관련 기술의 필요성 인식개선의 컨퍼런스 및 CEO 교육 등
4. 기대효과
ㅇ(모빌리티 ESG 생태계 조성) 모빌리티 관련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실천인식 및경쟁력확보 지원을 통해 다가올 수출규제 등의 선제적 방지책 마련 가능
ㅇ(표준개발·확산) 정책 기반 모빌리티 관련 중소기업의 ESG경영 문화를 확산시키고신재생E 등ESG 관련 솔루션 도입 활성화를 통해 신규 표준개발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