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준명 | 모빌리티 부품 공통 조립 공정(용접·도장·열처리 등) 에너지 절감을 위한 멀티 에이전트 참조 모델 |
| 개발주체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천안과학산업진흥원 |
| 주요내용 | 모빌리티 부품 조립 공정 중 핵심 에너지 소비 구간에 대한 모니터링 표준화 |
상세정보
1. 표준의 목적
이 표준은 모빌리티 부품 조립 공정 중 핵심 에너지 소비 구간인 용접(Welding), 도장(Painting), 열처리(Heat Treatment) 공정에서의 에너지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스마트 제어를 통해 최소 5~15% 수준의 에너지 절감을 달성하기 위한 에이전트 기반 분산 제어 아키텍처를 표준화하는 목적이 있다.
2. 주요 내용 요약
이 표준을 통해 불필요 공회전 제거로 에너지 소비 최대 절감과 5G-TSN 등 고속 네트워크,디지털 트윈 연계로 실시간 반응성·시뮬레이션 강화가 가능하다. 또한 ESG경영 목표 달성지원 및 스마트 그리드·탈탄소 생태계 연계 확대도 가능하다.
•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설비별 전력, 압축공기, 열에너지 사용량을 1초 단위로 수집하여중앙과 엣지에서 동시 시각화 및 분석
• (자율 제어) 머신러닝 및 규칙 기반 제어 로직을 결합하여 공정 조건에 따라 최적의 운전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산출·적용
• (분산 아키텍처 표준화) 엣지-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터,데이터베이스, UI를 포함한 각 계층별 인터페이스·프로토콜을 정의
• (확장성·유연성) 신규 공정 또는 설비가 추가되더라도 최소한의 개발로 에이전트 모듈을확장·연동할 수 있는 모듈러 설계
• (보안·신뢰성 확보) TLS·Mutual Auth 인증, HMAC 서명, 네트워크 분리와 같이 OT/IT 통합 환경에서 요구되는 보안 수준을 보장
